2011년에 읽은 책이 서른다섯 권이지만 사진 찍어 놓은 건 일곱 권밖에 없다.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최진영 씀, 한겨레출판, 2010년 7월
퀴르발 남작의 성 최제훈 씀, 문학과지성사, 2010년 9월
부의 기원 에릭 바인하커 씀, 안현실/정설철 옮김,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년 8월
삐비꽃이 아주 피기 전에 김일영 씀, 실천문학사, 2009년 5월
번역사 오디세이 쓰지 유미 씀, 이희재 옮김, 끌레마, 2008년 5월
역사 헤로도토스 씀, 천병희 옮김, 숲, 2009년 2월
유니버설 횡메르카토르 지도의 독백 히라야마 유메아키 씀, 권일영 옮김, 이미지박스, 2008년 6월
내 멋대로 출판사 랜덤하우스 베네트 서프 씀, 정혜진 옮김,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4년 8월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상 투키디데스 씀, 박광순 옮김, 범우사, 1993년 6월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하 투키디데스 씀, 박광순 옮김, 범우사, 1993년 6월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도널드 케이건 씀, 박재일/허승일 옮김, 까치, 2006년 9월
지상의 아름다운 도서관 최정태 씀, 한길사, 2006년 8월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건축 50 닐 스티븐슨 씀, 이영아 옮김, 동녘, 2008년 11월
독서의 역사 알베르토 망구엘 씀, 정명진 옮김, 세종서적, 2000년 1월
스트링 코스모스 남순건 씀, 지호, 2007년 3월
끝까지 이럴래 김연 등 씀, 한겨레출판, 2010년 10월
시가 내게로 왔다 5 김용택 엮음, 마음산책, 2011년 3월
신의 입자를 찾아서 이종택 씀, 마티, 2008년 8월
내 꿈에 국경은 없다 박희정 씀, 이덴슬리벨, 2008년 9월
추락 존 쿳시 씀, 왕은철 옮김, 동아일보사, 2004년 3월
기적의 사과 이사카와 다쿠지 씀, 이영미 옮김, 김영사, 2009년 7월
표백 장강명 씀, 한겨레출판, 2011년 7월
천자의 나라 상 김유인 씀, 오두막, 2005년 4월
천자의 나라 하 김유인 씀, 오두막, 2005년 4월
일곱 개의 고양이 눈 최제훈 씀, 자음과모음, 2011년 1월
청와대 vs 백악관 박찬수 씀, 개마고원, 2009년 7월
세계대전 Z 맥스 브룩스 씀, 박산호 옮김, 황금가지, 2008년 6월
몸으로 하는 공부 강유원 씀, 여름언덕, 2005년 7월
하루하루가 세상의 종말 J. L. 본 씀, 김지현 옮김, 황금가지, 2009년 11월
하루하루가 세상의 종말 2 J. L. 본 씀, 김지현 옮김, 황금가지, 2011년 6월
잉글리시 디바이드 안준성 씀, 북카라반, 2011년 2월
내 심장을 쏴라 정유정 씀, 은행나무, 2009년 5월
7년의 밤 정유정 씀, 은행나무, 2011년 3월
안나 카레니나 1 톨스토이 씀, 박형규 옮김, 문학동네, 2009년 12월
안나 카레니나 2 톨스토이 씀, 박형규 옮김, 문학동네, 2009년 12월
작년 한해 동안 읽은 책이 모두 서른다섯 권이다. 여기에는 내가 일 때문에 수도 없이 되풀이해 읽어야 한 책은 넣지 않았다. 맘 편하게 읽은 책이 아니라 말 그대로 밥벌이하려고 읽은 것이라 독서 목록에 넣기는 좀 거시기 하다. 내가 작업한 책과 후배들 작업 봐준 게 대충 스무 권 정도 되는 듯하다.
분야로 나누면 서른다섯 권 가운데 소설이 제일 많다. 열여섯 권. 특징을 꼽자면 아마 '종말 문학'이 아닐까 싶다. 남들은 연말 분위기 낼 때 난 <세계대전 Z>, <하루하루가 세상의 종말>, <하루하루가 세상의 종말 2> 따위를 읽으며 종말을 간절히 기원했다. 드라마도 <워킹 데드> 같은 좀비물을 찾아 봤다. <세계대전 Z>나 <하루하루가 세상의 종말>은 좀비가 인류를 멸망으로 몰아넣는 과정을 소재로 삼고 있는데 재밌는 것은 둘 다 좀비가 창궐하기 시작한 곳을 중국으로 설정했다는 점이다. 역시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며 세계의 시궁창인 것인가? 종말 문학 탐닉은 2012년 <종말 문학 걸작선>으로 이어졌다. 다행이라면 이 책에 크게 실망해 관심이 사라졌다는 것.
한겨레문학상을 받은 소설도 두 권 읽었다.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과 <표백>. <표백>은 그냥 그랬다. 무엇보다 기본 전제나 설정이 억지스러워서 공감하기 어려웠다. 역시 여자는 예쁘고 봐야 하는가? 반면에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은 글쓴이가 공들여 쓴 문장에서 묵직함을 느낄 수 있었다. 최제훈 소설도 두 권, 정유정 소설도 두 권 읽었다. 네 권 다 굉장했다. 문장, 이야기, 재미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는 소설이었다. 다만 정유정이 2007년에 쓴 소설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는 좀 과장되고 지루해서 읽다 말았다.
고전이라 할 만한 책은 다섯 권 읽었다.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상>,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하>, <안나 카레니나 1>, <안나 카레니나 2>(<안나 카레니나 3>은 2012년에 읽었다). <역사>는 천병희 번역본을,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박광순 번역본을, <안나 카레니나>는 박형규 번역본을 읽었다(<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2011년 6월에 천병희 번역본이, <안나 카레니나>는 2011년 12월에 윤새라 번역본이 새로 나왔다). <안나 카레니나>가 고전이라고 해서 읽기는 했다만 잘 모르겠다. 이건 뭐 러시아 귀족 안나가 그저 바람피우는 얘기 아닌가? 안나 오빠가 가정교사랑 바람 나는 걸로 시작하고 안나는 올케를 설득하려고 오다가 외려 기차에서 만난 장교랑 눈이 맞고 만다.
<독서의 역사> 또한 재밌는 책이었다. '독서'를 얘기할 때마다 인용되는 책이라 읽게 됐는데 역사의 마디와 변곡점을 짚어 주는 글쓴이의 해박하고 박식한 상식과 교양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어찌 보면 별 볼 일 없는 얘긴데도 재밌었다. 상당히 두꺼운 <부의 기원>은 괜찮은 경제 서적인 듯하다. 복잡계가 어쩌구 하는데 나중에 다시 읽고 정리해 놓을 생각이다. <유니버설 횡메르카토르 지도의 독백>은 피와 살, 살갗과 내장의 교향악에,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건축 50>과 <지상의 아름다운 도서관>은 건축, 영혼을 착하게 하는 예술에 몇 자 적어 놓았다. 시집은 두 권밖에 읽지 못한 게, 자기계발서는 두 권이나 읽은 게 아쉽다.
2012년에는 몇 권이나 읽을까? <역사>에서 빌려 온 한 토막으로 이 글을 마무리한다.
"무엇보다도 헬라스를 공격하는 것이 신이 아니라 인간이기 때문이오. 태어날 때부터 자기 몫의 행운에 불행이 섞이지 않은 인간은 아무도 없었고, 또 없을 것이오. 그리고 위대한 인간일수록 더 큰 불행을 당하는 법이오. 그러니 침략자도 인간인 만큼 그의 예상은 빗나가고 말 것이오." 이 말을 듣자 로크리스인들과 포키스인들은 트라키스를 도우러 갔다.
<역사> 제7권 203장
2008년 열네 권 / 2009년 쉰세 권 / 2010년 서른세 권 / 2011년 서른다섯 권 / 2012년 ??
7월_ 열 권
십자군 토머스 매든 씀, 권영주 옮김, 루비박스
홍길동전, 전우치전, 박씨부인전 허균 외 씀, 보리
조선의 마지막 문장 이건창 씀, 송희준 옮김, 글항아리
국어독립만세 김철호 씀, 유토피아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씀, 이한중 옮김, 돌베개
당신 인생의 이야기 테드 창 씀, 김상훈 옮김, 행복한책읽기
8월_ 여덟 권
슈퍼자본주의 로버트 라이시 씀, 형선호 옮김, 김영사
책으로 세상을 움직이다 기획회의 편집부 엮음,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박씨전 장경남 씀, 현암사
변산공동체학교 김미선•윤구병 씀, 보리
9월_ 네 권
갈릴래아 사람의 그림자 게르트 타이센 씀, 차봉희 옮김, 한국신학연구소
모든 것이 중요해지는 순간 론 커리 주니어 씀, 이원경 옮김, 비채
10월_ 일곱 권
우주의 기원 존 배로 씀, 이은아•최승언 옮김, 사이언스북스
강유원의 고전 강의 공산당 선언 강유원 씀, 뿌리와이파리
11월_ 일곱 권
럼두들 등반기 E. W. 보우먼 씀, 김훈 옮김, 마운틴북스
개는 말할 것도 없고 코니 윌리스 씀, 최용준 옮김, 열린책들
공산당 선언 마르크스•엥겔스 씀, 강유원 옮김, 이론과실천
스틱 칩 히스•댄 히스 씀, 안진환•박슬라 옮김, 웅진윙스
12월_ 두 권
2009년에 읽은 책 가운데 <글쓰기 생각쓰기>, <번역의 탄생>, <당신 인생의 이야기>, <개는 말할 것도 없고>, <이타적 인간의 출현>을 추천한다. <글쓰기 생각쓰기>는 비록 미국 사람이 쓴 글쓰기책이지만 모든 글쓰기 선생들이 말하는 "쉽게 써라", "분명하게 써라"는 원칙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준다. <번역의 탄생>은 우리말과 영어가 어떻게 다른지 보여 주며, "번역은 글쓰기"라는 점을 넌지시 알려 준다. <당신 인생의 이야기>와 <개는 말할 것도 없고>는 둘 다 과학소설이다. 치밀한 구성과 밀도 있는 문체, 해박한 지식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정말 재미있다. <행동경제학>을 편집한 뒤 관련 서적을 꾸준히 읽었는데 그러다 알게 된 책이 <이타적 인간의 출현>이다. 글쓴이가 산타페연구소 출신이라는 것만으로도 읽어 볼 만한 책이지 않을까 싶다. 최근 개정판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