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12월에 한겨레를 다시 구독하면서 기념으로 찍은 사진.
요즘은 신문을 몰아서 읽다 보니 칼럼은 잘 읽지 않는 편이다. 읽지 않은 신문이 두세 달 치 쌓여 있는데 이걸 언제 다 읽을지 모르겠다. 아무튼 오늘 눈에 띄는 칼럼이 있어 몇 구절 옮겨 놓는다.
글쓰기는 결국 그 누구도 아닌 글쟁이 자신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운동이 그렇듯이. 평화운동가 에이브러햄 머스트(1885~1967)의 일화. 그는 베트남전쟁 당시 백악관 앞에서 밤마다 촛불을 들었다. 어느 비 오는 날 저녁, 한 방송 기자가 물었다. "혼자서 이런다고 세상이 변하고 나라 정책이 바뀌리라고 생각하십니까?" "난 이 나라의 정책을 변화시키겠다고 여기 있는 게 아닙니다. 이 나라가 나를 변질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 일을 하고 있는 겁니다." 글쓰기의 소임도 그렇지 않을까? 거창하게 남들을 변화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잘못된 국가와 비틀어진 현실이 “나를 변질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가냘프지만 의미있는 행위.
오길영 충남대 교수·영문학, <어느 에세이스트의 절필>
“종교적 통찰은 관념적인 사색이 아니라 영성수련과 헌신적인 삶의 방식으로부터 나온다. 그러한 실천 없이 종교적 교리의 진리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수녀 출신 신학자 캐런 암스트롱의 말이다.
호인수 인천 부개동성당 주임사제, <주일 미사와 자동차>
요즘 키보드 치는 재미가 쏠쏠하다. 타자기 소리를 내주는 프로그램을 깔았는데 정말 타자기 치는 기분이다. 매킨토시 쓰는 사람이라면, 글 쓰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깔아 보시라. 자세한 건 요기를.
7월_ 열 권
십자군 토머스 매든 씀, 권영주 옮김, 루비박스
홍길동전, 전우치전, 박씨부인전 허균 외 씀, 보리
조선의 마지막 문장 이건창 씀, 송희준 옮김, 글항아리
국어독립만세 김철호 씀, 유토피아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씀, 이한중 옮김, 돌베개
당신 인생의 이야기 테드 창 씀, 김상훈 옮김, 행복한책읽기
8월_ 여덟 권
슈퍼자본주의 로버트 라이시 씀, 형선호 옮김, 김영사
책으로 세상을 움직이다 기획회의 편집부 엮음,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박씨전 장경남 씀, 현암사
변산공동체학교 김미선•윤구병 씀, 보리
9월_ 네 권
갈릴래아 사람의 그림자 게르트 타이센 씀, 차봉희 옮김, 한국신학연구소
모든 것이 중요해지는 순간 론 커리 주니어 씀, 이원경 옮김, 비채
10월_ 일곱 권
우주의 기원 존 배로 씀, 이은아•최승언 옮김, 사이언스북스
강유원의 고전 강의 공산당 선언 강유원 씀, 뿌리와이파리
11월_ 일곱 권
럼두들 등반기 E. W. 보우먼 씀, 김훈 옮김, 마운틴북스
개는 말할 것도 없고 코니 윌리스 씀, 최용준 옮김, 열린책들
공산당 선언 마르크스•엥겔스 씀, 강유원 옮김, 이론과실천
스틱 칩 히스•댄 히스 씀, 안진환•박슬라 옮김, 웅진윙스
12월_ 두 권
2009년에 읽은 책 가운데 <글쓰기 생각쓰기>, <번역의 탄생>, <당신 인생의 이야기>, <개는 말할 것도 없고>, <이타적 인간의 출현>을 추천한다. <글쓰기 생각쓰기>는 비록 미국 사람이 쓴 글쓰기책이지만 모든 글쓰기 선생들이 말하는 "쉽게 써라", "분명하게 써라"는 원칙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준다. <번역의 탄생>은 우리말과 영어가 어떻게 다른지 보여 주며, "번역은 글쓰기"라는 점을 넌지시 알려 준다. <당신 인생의 이야기>와 <개는 말할 것도 없고>는 둘 다 과학소설이다. 치밀한 구성과 밀도 있는 문체, 해박한 지식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정말 재미있다. <행동경제학>을 편집한 뒤 관련 서적을 꾸준히 읽었는데 그러다 알게 된 책이 <이타적 인간의 출현>이다. 글쓴이가 산타페연구소 출신이라는 것만으로도 읽어 볼 만한 책이지 않을까 싶다. 최근 개정판이 나왔다.